분류 전체보기 232

Baekjoon Training / 2차원 vector / #2738

#2738 2차원 vector vector > v(10.vector(10,0)); 2차원 vector는 위와 같이 vector에 vector 자료형을 담는 느낌으로 생성한다. 위 코드는 10개의 원소를 가지고 있고, 각 원소는 10개의 원소를 갖고 있고 이 원소들은 0으로 초기화된다. 즉, v[0][0] ~ v[10][10] 모두 0으로 초기화되었음을 의미한다 연속된 정수 받기 int n, m; scanf("%d %d", &n, &m); scanf로 공백을 기준으로 연속으로 정수를 입력 받을 수 있다. cin으로 연속된 정수를 받기 위해서는 enter를 통해서 받거나 for문을 통해 연속적으로 값을 받아야한다. #define _CRT_SECURE_NO_WARNINGS #in..

Coding/Step By Step 2023.02.07

Baekjoon Training / vector / &(reference) / #15596

#15596 vector (class) vector를 생성하면 메모리 heap에 생성되며 동적할당된다. array와의 가장 큰 차이점은 array는 크기가 컴파일할 때 결정되므로 후에 원소를 추가하거나 삭제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무조건 스택 메모리를 사용해야하지만, vector는 크기가 동적으로 변한다. 가변 크기의 데이터 컨데이너가 바로 vector이다. vector는 메모리를 재할당하는 데 용이하지만, 포인터를 통한 접근이기 때문에 속도가 느리다. vector를 사용해야할 case - 저장할 데이터의 개수가 정해지지 않은 경우(가변의 경우) - 데이터 접근의 랜덤 엑세스가 필요한 경우 - 중간에 데이터 삽입이나 삭제가 일어나지 않는 경우 배열 기반 컨테이너이기 때문에 push_front(), pop_f..

Coding/Step By Step 2023.02.03

SOLIDWORKS / 열전도 전산모사 / Bimetal / 열팽창 비교

신입 연구원 대상 입문 과제 Bimetal Bending 바이메탈 Bimetal? 영어로 둘을 의미하는 "bi"와 금속의 "metal"을 합쳐 bimetal이라 칭한다. 바이메탈은 금속의 열팽창률을 이용한 소자이다. 금속은 온도가 올라가면 늘어가는 성질이 있고 늘어나는 정도는 금속마다 다르다. 그래서 서로 다른 금속을 붙여놓으면 붙인 금속이 온도에 따라 구부러진다. 이처럼 구부러지는 성지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붙였다 떨어졌다 하며 온도를 제어한다. 바이메탈 동작 방식 동작 방식에 따라 2가지로 나뉜다. N Type ( Open on Rise ) : 온도가 올라가면 접점이 떨어지고, 온도가 내려가면 접점이 붙는 방식 R Type ( CLose on Rise ) : 온도가 올라가면 접점이 붙고, 온도가 내려..

SOLIDWORKS / 열전도 전산모사 / 과제 5 / Forced Conviction

신입 연구원 대상 입문 과제 Forced Conviction Forced Conviction 5-1 과제3에서의 Arbitrary box 와 동일한 환경에서 box의 재질만 ABS(플라스틱)으로 변경하였다. -> flow simulation이 실행되지 않았다. 1.Wizard 설정 다시하기-> 재질, 열량 ,온도 설정 초기화 2. 중력 인가하기 3. run 이래도 안돼서 메이트부터 다시 했다~! 아무래도 메이트가 잘 안 되었던 것 같다!! 메이트를 다시 하고 기본 세팅을 마쳤다.(Wizard, 중력 인가, 재질 설정, 열량 설정) run 하고 flow simulation results features에서 cut plot을 solid중앙부에 두고 결과를 확인한다. Temperature Temperature..

SOLIDWORKS / 열전도 전산모사 / 과제 4 / Flow Simulation by Gravity

신입 연구원 입문 과제 Computational Domain-1 Computational Domain 과제 4 과제 설명 Flow Simulation by Gravity 과제 4-1 flow simulation의 general setting에서 중력을 추가해주었다. Computational Donmain 60*60*60(mm^3) Heat source 5W gravity 적용하고 run 하여 cut plot으로 온도 분포를 확인하였다. 공기 유속 분포 확인 Flow Simulation by Gravity 과제 4-2(1) 20*20*40 (Computational Domain) Flow Simulation by Gravity 과제 4-2(2) 4-4(1) 4-4(2) 아 진짜 ㅐ개귀찮아 ㅡㅡ 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