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LED LAB 16

단층형 LD 14A (with S.H) / VBG 온도 측정

14A LD main peak 고출력 Laser Diode의 선폭 안정화를 위하여 설치한 Space Heater에 0~9V를 인가하였을 때, 14A에서 lasing된 8번 빛의 main peak를 확인하였다. 0V 1V 2V 3V 4V 5V 6V 7V 8V 9V 반치폭 측정 VBG & S.H temperature('C) 중심 파장 이동 VBG 1'C당 중심파장이 약 2pm/'C 이동하였다. 스팩상 1'C 당 8.5pm가 이동해야하는데 절반도 못 미치는 결과가 나왔다. VBG 온도를 IR카메라를 이용하여 측정하는데 VBG의 딱 한 지점을 측정하는 것이 아닌 VBG의 여러 곳의 온도를 측정하여 그 평균값으로 데이터를 정리함으로써 결과의 정확도가 떨어졌던 것 같다. 실험 데이터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정확한..

단층형 LD 16A (with S.H) / VBG 온도 측정

16A LD main peak 반치폭 측정 고출력 Laser Diode의 선폭 안정화를 위하여 설치한 Space Heater에 0~9V를 인가하였을 때, 14A에서 lasing된 3번 빛의 main peak를 확인하였다. (numbering 수의 처음부분에서 레이징이 잘 되었고, 오히려 1~19중 중간부분에서는 전혀 레이징이 되지 않았다.) 0V 1V 2V 3V 4V 5V 6V 7V 8V 9V VBG & S.H temperature space heater에 전압을 인가함에 따라 VBG의 온도도 비슷한 폭으로 상승하였다. VBG 온도에 따른 중심파장 변화 VBG 1'C당 중심파장이 3.59pm 이동하였다. 이전 14A보다 LD 스펙에 가까워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HPLD numbering / beam profiler

HPLD numbering settings LD bar 확대 LD-bar에서 나오는 레이저를 다음과 같이 1부터 19까지 numbering해주었다. Fabry perot interferometer 로 빛이 다음과 같이 좌우 반전되며, 바로 위 사진에는 생략되었지만 위쪽 setting사진에서와 같이 두 장치 사이에는 볼록 렌즈가 있기 때문에 상하 반전도 일어나 최종적으로 빛이 상하좌우 반전되어 뻗어나간다. 빔 프로파일러 빔 프로파일러로 촬영한 LD-bar laser는 다음과 같다. 빔 프로파일러는 빛이 들어오는 방향을 등지고 바라봤을 때의 빛의 모습을 인식한다.

[Introduction] High-power Laser Diode bar

PDLED 연구 주제 VBG용 space heater를 장착한 high-power laser diode bar의 선폭 개선과 중심파장 조절 (본 연구는 고효율 레이저 특화 연구실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국방과학 연구소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space heater가 장착된 volume Bragg gratings (VBG)를 이용하여 high-power laser diode(HPLD) bar의 선폭을 좁히고 안정화시킬 수 있음과, 중심파장을 조절할 수 있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Methods and Materials [ Materials ] Space heater 재질 : Cu ( 두께 : 1.0mm ) / 크기 : 너비 15mm, 높이 5mm, 길이 10mm ( VBG를 감싸..

SOLIDWORKS / 열전도 전산모사 / Bimetal / 열팽창 비교

신입 연구원 대상 입문 과제 Bimetal Bending 바이메탈 Bimetal? 영어로 둘을 의미하는 "bi"와 금속의 "metal"을 합쳐 bimetal이라 칭한다. 바이메탈은 금속의 열팽창률을 이용한 소자이다. 금속은 온도가 올라가면 늘어가는 성질이 있고 늘어나는 정도는 금속마다 다르다. 그래서 서로 다른 금속을 붙여놓으면 붙인 금속이 온도에 따라 구부러진다. 이처럼 구부러지는 성지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붙였다 떨어졌다 하며 온도를 제어한다. 바이메탈 동작 방식 동작 방식에 따라 2가지로 나뉜다. N Type ( Open on Rise ) : 온도가 올라가면 접점이 떨어지고, 온도가 내려가면 접점이 붙는 방식 R Type ( CLose on Rise ) : 온도가 올라가면 접점이 붙고, 온도가 내려..

SOLIDWORKS / 열전도 전산모사 / 과제 5 / Forced Conviction

신입 연구원 대상 입문 과제 Forced Conviction Forced Conviction 5-1 과제3에서의 Arbitrary box 와 동일한 환경에서 box의 재질만 ABS(플라스틱)으로 변경하였다. -> flow simulation이 실행되지 않았다. 1.Wizard 설정 다시하기-> 재질, 열량 ,온도 설정 초기화 2. 중력 인가하기 3. run 이래도 안돼서 메이트부터 다시 했다~! 아무래도 메이트가 잘 안 되었던 것 같다!! 메이트를 다시 하고 기본 세팅을 마쳤다.(Wizard, 중력 인가, 재질 설정, 열량 설정) run 하고 flow simulation results features에서 cut plot을 solid중앙부에 두고 결과를 확인한다. Temperature Temperature..

SOLIDWORKS / 열전도 전산모사 / 과제 4 / Flow Simulation by Gravity

신입 연구원 입문 과제 Computational Domain-1 Computational Domain 과제 4 과제 설명 Flow Simulation by Gravity 과제 4-1 flow simulation의 general setting에서 중력을 추가해주었다. Computational Donmain 60*60*60(mm^3) Heat source 5W gravity 적용하고 run 하여 cut plot으로 온도 분포를 확인하였다. 공기 유속 분포 확인 Flow Simulation by Gravity 과제 4-2(1) 20*20*40 (Computational Domain) Flow Simulation by Gravity 과제 4-2(2) 4-4(1) 4-4(2) 아 진짜 ㅐ개귀찮아 ㅡㅡ 4-3

SOLIDWORKS / 열전도 전산모사 / 열해석 / 과제 3-1 / Flow simulation

신입 연구원 입문 과제 Computational Domain-1 Computational Domain 과제 3-1 3-1 Manual Solidworks 새문서에서 Arbitary box를 만들 파트를 생성한다. box의 밑면을 이룰 사각형을 그리고 지능형 치수로 크기를 조절한다. 피처를 생성하여 35*35*40(mm'3) 육면체를 생성한다 열전도율이 1W/mk인 육면체를 필요로 하므로 열 전도율이 0.74976인 유리로 육면체의 재질을 설정하였다. 피처의 쉘 기능을 이용하여 간격 1mm남기고 육면체 안쪽을 파주었다. 모든 파트를 생성할 때에 보통 시작을 윗면에서 해준다 그라운드를 만들어주는 개념으로 그렇게 해주는 것 같다. 메이트로 두 파트를 붙여주었다. flow simulation에서 과제2번과 동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