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U | micro control unit |
FPGA |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
VLSI | very large scale integration |
SOC | system on chip |
AP | application processor |
ASIC |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
CPU | central processing unit |
GPU | graphic processing unit |
HDL | hardware description language |
IC | integrated circuit |
STA | static timing analysis |
SRAM | static random access memory |
DRAM | dynamic random access menory |
(latency, bandwidth, throughput)
latency는 명령어를 실행하는 데 걸리는 지연시간을 의미한다.
bandwidth는 단위시간당 전송 가능한 데이터의 양을 의미한다.
데이터는 데이터 버슬르 통해 전송하게 된다. data bus의 폭은 한 번에 전송 가능한 bit의 수를 의미한다.
즉 32bit의 데이터를 전송할 때 data bus의 폭이 16bit라면 전송은 총 2번 이루어져야 한다.
throughput은 단위시간당 처리 가능한 작업의 수를 의미한다.
프로세서를 최적화 하기 위해 cache memory를 사용하거나, 더 높은 clock speed를 가진 hardware를 이용하는 방법을 예로 들 수 있다. cache memory를 사용하면 빠르게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어 latency를 감소시킬 수 있다.
'Quality control (2) > Digital System Design' 카테고리의 다른 글
DSD - Final exam (sequential) (0) | 2023.06.03 |
---|---|
DSD - Logic Synthesis (0) | 2023.06.02 |
DSD - ASIC Design Flow (0) | 2023.06.02 |
DSD - Behavioral Modeling(2) / Procedure constructs (always) (0) | 2023.04.06 |
DSD - Behavioral Modeling(1) / Procedure constructs ( initial ) (0) | 2023.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