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3 for문
for문의 기본 구조
in 다음에 오는 리스트, 튜플, 문자열의 첫번째 요소부터 마지막 요소까지 차례대로 변수에 대입하여 for문 내에 있는 문장들이 수행한다.
for문 사용 예시
- 튜플 요소를 가진 리스트 / print하며 튜플 요소 이용 연산
- number 증가하며 for문 돌리기
# marks1.py
marks = [90, 25, 67, 45, 80]
number = 0
for mark in marks: #mark라는 변수에 리스트 안에 있는 값들이 하나씩 순서대로 들어감
number = number + 1 #number가 1씩 증가되며 번호 부여됨
if mark >= 60:
print("%d번 학생은 합격입니다." % number)
else:
print("%d번 학생은 불합격입니다." % number)
for문과 continue문
:for문에서의 continue문을 만나면 for문 내에서 더이상의 문장들을 실행하지 않고,
다음 turn으로 넘어가 for문을 다시 시작한다.
range함수
: for문은 숫자 리스트를 자동으로 만들어주는 range함수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range함수 파라미터에 수 하나를 넣으면 0부터 해당수 미만까지의 range객체를 만들어주고,
시작과 끝숫자를 지정해주면 시작숫자부터 끝숫자 미만까지의 range 객체를 만들어준다.
- for문과 함께 쓰이는 예시 (기본 add 예시)
for문 in 뒤에 range 객체를 넣어 i에 1부터 10까지의 수가 순서대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 for문과 range함수를 사용한 구구단 예시
C에서는 for문이 돌아갈 수의 범위를 지정해주기 위해 변수도 따로 지정해주어야 하고 시작범위와 끝범위를 따로따로 지정해줘야하지만 파이썬에서는 range함수 하나만으로 시작과 끝의 범위를 쉽게 지정할 수 있다.
위 코드에서 end=" "를 해준 이유는 print함수는 본래 출력 이후 다음줄로 넘어가지만, end 매개변수를 넣어줌으로써 동일 i값에 대해 j에 대한 for문에 돌아가는 동안에는 줄 바꿈 없이 들여쓰기만으로 연결짓고자 함을 목적으로 사용한 것이다.
리스트 내포 사용하기
-주어진 코드
- 리스트 내포 사용
'Coding > Jump to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 사용자 입출력 / input / print / 문자열 출력 / end 이어쓰기 (0) | 2023.09.14 |
---|---|
Python - 함수 / 입력 개수 모를 때 / keyword parameter / parameter 초기값 / global 변수 (0) | 2023.09.14 |
Python - while문 / break / continue / 무한루프 빠져나오기 (0) | 2023.09.08 |
Python - if문 제어 / 비교문 종류 / 비교연산자 / in / not in / elif (0) | 2023.09.08 |
Python - 변수 / 객체의 주소 / 변수값 바꾸기 (swap) (1) | 2023.09.08 |